진경산수화 썸네일형 리스트형 [호암미술관] 진경산수의 창시자, 겸재 정선 작품 역대 최대 규모로 선보여 《겸재 정선》 호암미술관과 간송미술관이 손을 맞잡고 선보이는 최초, 최대 규모의 겸재 정선 특별전 [서울문화인] 우리나라 회화에서 18세기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전 회화는 중국의 회화를 답습하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면 이 시기에 중국 화풍에서 벗어난 독자적인 화풍이 등장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중국 화보(畵譜)의 모방에 그쳤던 문인화(文人畵)는 현재 심사정(1707-1769), 표암 강세황(1713-1791) 등을 거쳐 개성적인 화풍으로 그려지면서 조선 화단의 독특한 장르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이 시기 조선 회화의 흐름을 주도한 장르는 역시 겸재 정선(1676~1759)으로 대표되는 ‘진경산수화’와 김홍도, 신윤복이 발전시킨 ‘풍속화’일 것이다. 두 장르가 서로 관련 없는 것으로 보일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