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덕궁

봄빛 가득한 창덕궁 낙선재 후원 거닐며 듣는 역사 이야기 ‘봄을 품은 낙선재’ [서울문화인] 봄을 맞아 3월 21일부터 27일까지 1일 2회(오전 10시, 오후 2시 30분) 평소 관람객의 접근이 제한되었던 창덕궁 낙선재 후원 일대를 둘러보는 특별 해설 프로그램 ‘봄을 품은 낙선재’를 진행한다.  창덕궁 낙선재 일원은 낙선재(樂善齋), 석복헌(錫福軒), 수강재(壽康齋)가 하나의 구역을 이루고 있으며 이를 통칭하여 낙선재라 부른다. 낙선재는 헌종의 서재 겸 휴식 공간으로 1847년 지어졌으며, 석복헌과 수강재는 그 이듬해에 각각 후궁 경빈 김씨와 대왕대비 순원왕후(순조비)의 처소로 조성되었다. 단아하면서 기품 있는 건축미를 지닌 낙선재는 헌종과 경빈 김씨의 사랑이 깃든 장소로 유명하며, 덕혜옹주 등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실 가족들이 1989년까지 머물렀던 역사적 공간이기도 하다.   .. 더보기
창덕궁 희정당 야간 내부관람과 함께 대조전에 울려 퍼지는 왕의 음악 4월 3일부터 6일까지, ‘오얏꽃등 밝힌 창덕궁의 밤’ 진행 [서울문화인] 평소 내부관람이 제한된 조선시대 왕과 왕비가 생활하던 전각인 희정당의 야간관람 ‘창덕궁 깊이보기, 희정당’과 함께 국립국악원의 품격 있는 공연 ‘오얏꽃등 밝힌 창덕궁의 밤’을 즐기는 프로그램이 오는 4월 3일부터 4월 6일까지 4일간 진행된다. 문화재청과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이 함께 진행하는 이번 프로그램은 먼저 50분간 진행되는 희정당 야간관람에서는 희정당 외현관과 동행각, 중앙홀을 따라 장식등(샹들리에)을 비롯하여 근대시대의 다양한 전등으로 중앙 접견실과 귀빈실, 복도 등 권역 전체에 불을 밝힌 모습을 볼 수 있어 불 켜진 창덕궁의 아름다운 야경을 오롯이 느낄 수 있다. 이어서 대조전 월대 권역에서 30분간 진행되는 공연에.. 더보기
[문화재] 3월, 세계유산 창덕궁의 으뜸전각 ‘인정전’ 내부 관람 진행 [서울문화인]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소장 이명선)는 오는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매주 수~일요일마다 평소 밖에서만 볼 수 있었던 창덕궁 인정전 내부를 좀 더 가까이에서 감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국보로 지정된 창덕궁 인정전(仁政殿)은 왕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외국 사신의 접견 등 중요하고 공식적인 의식을 치르던 곳이다. 외관은 2층으로 보이지만, 내부는 위아래가 트인 통층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한 단을 높인 천장 중앙에는 구름 사이로 두 마리 봉황 목조각을 달아놓아 으뜸 공간으로서의 화려한 권위를 극대화했다. 인정전은 1405년(태종 5) 창덕궁을 창건할 때 지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광해군 즉위년인 1608년에 재건되었다. 이후 1803년(순조 3)에 있었.. 더보기
[문화재보기] 창덕궁 희정당의 벽화로 보는 금강산도와 김규진 [서울문화인] 1920년 김규진은 서화연구회의 대표 자격으로 창덕궁 희정당 벽화 제작을 의뢰 받아 희정당 동벽에는 해금강의 총석정을 다룬 를, 서벽에는 금강외산의 바위를 묘사한 를 제작했다. 김규진은 창덕궁 희정당 벽화 제작에 앞서 1919년 10월 28일부터 12월 8일까지 『매일신보』에 「금강산 스케치」를 21회 연재한 이력이 있어 희정당 벽화를 제작하기 전에 금강산도를 그린 경험이 있었다. 경신년 초여름에 창덕궁 희정당 벽화일로 인하여 명을 받들고 금강산에 들어가는 길에 통천군 고저면에 이르러 총석정에 올라가 수석이 천하에 절승함을 보고 작은 배를 타고 그 전경을 그리어 초본을 만들고 금강산으로 향하여 그 명승의 각처를 돌아보고 몇 폭을 그리고 집에 돌아와 이를 확대하여 그리어 이 작품과 만물상 전.. 더보기
[문화재보기] 창덕궁 희정당과 금강산 실경 벽화 [서울문화인] 창덕궁 희정당熙政堂 중앙에 자리한 대청에서 동서 침실로 들어가는 문의 상부에 해강海岡 김규진金圭鎭(1868~1933)이 그린 금강산 실경인 〈총석정절경도叢石亭絶景圖〉와 〈금강산만물초승경도金剛山萬物肖勝景圖〉가 장식되어 있다. 희정당 두 벽의 길이가 스물아홉자 넓이 일곱자의 두 폭 풍경화는 서화연구회書畵硏究會 대표자 김규진에게 일천삼백오십 원의 윤필료를 주어 촉탁을 하였다고 한다. ​ ​ 창덕궁 희정당 ​두 벽화의 설명에 앞서 희정당에 대해 알아보자. 전통적으로 창덕궁 희정당은 왕과 왕비의 침전寢殿인 대조전大造殿, 경훈각景薰閣과 더불어 국왕이 편안히 거할 수 있는 생활공간인 내전內殿인 동시에 편전인 선정전의 부속 전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즉 국왕이 더욱 편안하게 신하들을 접견하고 국정의 중.. 더보기